Tag: nimf

내년(2023년)까지는 어렵다고 하더니, 22년 11월 말, 새 판이 나왔다. 개발자는 과감하게 3 으로 올렸는데.. 기념하여 한번 설치해봤다. 설치엔 별 문제는 없었고, 다음 두가지만 주의하면 된다. 환경변수 파일은 만들어야 한다. 또는 다른 곳에 넣어도 되는데, 관리를 위해서 이 방법을 택했다. Nimf…

굳이 이런 짓을 해야할 필요는 없긴 하지만.. 오래된 고질병인 끝글자 행태를 다시 보기가 짜증나서 이런 꼼수까지 생각하게 됐다. 현재 내 환경에서 Fcitx 가 필요한 프로그램은 총 3개다. 이 중 QMMP 에선 한국어 입력을 할 일이 거의 없으므로 그냥 버려두기로 하면..예전과…

아.. 지겨운 입력기 문제.리눅스가 이 문제를 극복할 날이 오려나. Anki 가 이제는 Flatpak 을 제공하기에, 기쁜 맘으로 설치해봤으나.. 이번엔 또 fcitx5 가 발목을 잡았다.Flatpak 개발팀에 따르면, 아마도 Anki Flatpak 은 fcitx4 만 지원하는 모양이다. 이러면 Flatpak 을 사용하기는 무리가 있고..예전…

QT6 로 인해, Nimf 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돼버렸다. 이 와중에, 최근 새로운 입력기가 개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안타깝게도 제작자가 1년쯤 손을 뗀다고 한다. 딱 1년전인 2021년 1월 10일에 0.1.0 이 공개된 뒤, 딱 1년만에 잠시 멈춤.현재…
** 글 쓰고 나서 추가2022.01 현재 QT6 사용 프로그램 :telegram-desktop, qmmp 따라서 위 2개 최신판은 xBuntu 20.04 계열에선 쓸 수 없다. 한동안은 쓸 수 있을거라 생각했던 Nimf 였는데, 내가 너무 안일(安逸)하게 생각했을까.2022년이 되자마자 Nimf 한계에 부닥쳐버렸다. (이 글은 아치 리눅스…

Arch Linux 에는 이미 aur 로 nimf 가 제공되고 있다. 그냥 그걸 설치하면 별 문제는 없는데..이 nimf 는 하모니카라는 곳에서 관리되고 있다. (이 하모니카가 뭔지 잘 모르는 건 몇 년째 변함이 없는데..) 아무튼, 딱 한가지. 안 그래도 별로 예쁘지 않은…
일본어 공부를 시작하고, Anki 를 쓰다보니, 일본어 입력이 필요해졌다.Nimf 에도 nimf-anthy 라는 일본어 모듈이 있긴 한데, 이게 생각보다 꽤 사용이 불편하다. 일본어 입력기는 mozc 라는 방식이 제일 많이 쓰이는데, Nimf 제작자가, 구현하기에 시간이 너무 많이 들 듯 하여 계획이 없다고도…
Dasom 에서 Nimf 를 거쳐 Tian 까지. Tian 이라고 표기했지만, ‘티엔’이라고 읽는가보다. 한글로는 ‘티엔’이라 적혀있다. 이전까지와 가장 큰 차이는, 더 이상 소스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 그 대신 저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Launchpad PPA 에는 소스가 반드시 필요하기에, 사설(?) 저장소를 만들어 그것을…

제목에 쓰인 주요 단어가 모두 영어라, and 를 ‘그리고’로 쓰려다가 그냥 몽땅 영어로 해버렸다. 지난 번 Nimf 관련 글에는 ‘그리고’를 넣었었는데, 어째 좀 이상했다.외국말 쓰는 거 별론데. 우분투는 20.04 부터 QT4 를 빼버리기로 한 모양이다. 찾아보니 3월 9일자로 빠져버렸다. OpenSuse…

이 전 글에 썼던 대로, 기본 제공되는 iBus 에는 문제가 있다. 제대로 사용할 수가 없는 정도.대안으로 fcitx 를 쓰면 되겠지만, 영문 Dvorak 자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또 있다. uim 등 대안은 있는데, 그래도 Nimf 를 써보기로 했다.단, 꾸러미를 찾을…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