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글꼴

우분투, 글꼴 설정… 삽질의 시작.

** 이글루스(2010.03.15)에 있던 글.오래된 글이고, 지금 보면 어설프기도 하지만, 그래도 꽤 긴 내용이라 그냥 버리기에 아까와서 옮겨본다. 이 글은.. 아마도 긴 글이 될 것이다. 생각외로 짧을 지도 모르겠지만.. 글꼴 설정에 관해 그간 몇번 글을 썼었는데, 그야말로 단순무식한 관점에서 쓴 글들이었다.따라서…

Continue Reading 우분투, 글꼴 설정… 삽질의 시작.

fontconfig, 아주 간단히만.

아주 예전에 글꼴 설정법을 정리한 적이 있었다. 지금 보니 무려 11년 전이네.. 대단하군. 그 시절엔 그렇게까지 해야했을진 몰라도, 또, 그 방법이 아직도 유효하긴 하지만, 이젠 뭐 그렇게까지 열심히 파고들 일은 없으므로 거기까지 다시 언급할 일은 없다. 그래도, ArchLinux 를 쓰면서…

Continue Reading fontconfig, 아주 간단히만.

Noto 글꼴 무시하기.

우분투에서나 아치에서나, Noto 글꼴을 설치하면 너무나도(여기선 ‘너무’를 쓸 수 밖에 없다.) 많은 글꼴이 설치되기 때문에, 글꼴을 고를 일이 있는 프로그램을 쓸 때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LibreOffice 에선 아래 기능이 무용지물이긴 하다. 적어도 Flatpak 판으로는 그렇다.) 그렇다고 꾸러미로 설치된…

Continue Reading Noto 글꼴 무시하기.

KDE Neon: LibreOffice FlatPak 설치.

늘 느끼는 거지만, 제목에 영어가 너무 많다. 그렇다고 고유명사를 그냥 한글로 표기하기도 좀 애매하고.. 이번에도 ‘설치’ 빼고는 모두 영어. 그건 그거고. 오피스를 쓸 일이 별로 없긴 하지만, 그래도 가끔씩은 쓰게 된다. 리눅스에서 고를 수 있는 오피스는 사실 상 거의 하나…

Continue Reading KDE Neon: LibreOffice FlatPak 설치.

순바탕체?

순바탕체는 언젠가(올 봄?) 알게된 공짜 글꼴인데, 두가지가 맘에 들지 않는다. 첫번째. 이 글꼴 제조사(?)는, MS 윈도우, MacOS 용 설치 파일만 제공한다. ttf/otf 를 추출하려면 각 OS에서 설치하는 수밖에 없다. 두번째. 화면 가독성은 영 좋질 못하다. 리눅스라 그런 지는 몰라도, 리브레에서…

Continue Reading 순바탕체?

무료 서체 몇가지. 빙그레 따옴체, 넷마블체.

나눔글꼴 이후 일종의 유행인가?요즘, 매년 한글날이 되면 무료 글꼴을 공개하는 일이 많다. 한글날 기념 무료 글꼴 5선 이 중, 빙그레 따옴체와 넷마블체를 설치해봤다.빙그레 따옴체는 메뉴에 써도 괜찮을 듯은 한데.. 그래도 아직은 서울남산체에 빼앗긴 마음을 돌릴 정도는 아니다. 파일을 내려 받으며…

Continue Reading 무료 서체 몇가지. 빙그레 따옴체, 넷마블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