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 March 2022

vim: vim-plug 을 사용한 ddc.vim 설치.

** 2023.04.19 수정 ddc.vim 은, YouCompleteMe, deoplete.nvim 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vim 용 자동 완성 지원 프로그램이다.간단하게 설치법만 정리한다. 아주 짧게 써봤지만, deoplete.nvim 보다 반응이 좀 빠른 듯 하다. Python 프로그램(msgpack pynvim) 설치도 필요없고.다만! 이 plugin 을 쓰려면 deno 가…

Continue Reading vim: vim-plug 을 사용한 ddc.vim 설치.

vim: vim-plug 을 사용한 deoplete.nvim 설치.

또 괜히 삽질 한번..Vim 에서 자동 완성계는 YouCompleteMe 가 꽉잡고 있는 형국이다. 나도 몇년째 그냥 그걸 쓰고 있는데.. 오늘 문득, 다른 대안은 없을까하다가, deoplete.nvim 을 발견하게 됐다. 헌데, 개발자에 의하면, 이 프로그램은 완성(즉, 개발 끝!)되었고, 문제점이 생겼을 경우에만 조치를 취할…

Continue Reading vim: vim-plug 을 사용한 deoplete.nvim 설치.

VS Code : Pylance, Jedi, Tabnine 간 상관관계?

적당히 기능에만 만족하며 쓰면 되지만, 얘들이 뭘 하는 애들인지 좀 정확하게(나름대로) 알고 싶었다.‘나름대로’를 붙인 이유는, 아직 확실히 알진 못하기에.. 나만 이런게 궁금하진 않을터, 찾아보니 관련 글이 있긴 했는데.. 이 글은 Pylance 와 Intellicode 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었고, 이어지는 글타래에서 Pylance…

Continue Reading VS Code : Pylance, Jedi, Tabnine 간 상관관계?

7개월쯤 머릿 속을 떠돌던 음악의 정체를 찾다. (신서유기에 고마움을 전하며!)

작년 7월. 갑자기 떠오른 멜로디가 있었다. 기타를 잡아 대충 뚱땅거리며 녹음을 했고, 주변 사람들에게 들려줬다. 혹시 들어본 적이 있느냐고.물론, 답을 찾진 못했다.당시엔 좀 많이 궁금해했기 때문에, 길을 가다가 피아노 교습소가 보이면, 문득 그냥 한번 들어가서 물어볼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차라리…

Continue Reading 7개월쯤 머릿 속을 떠돌던 음악의 정체를 찾다. (신서유기에 고마움을 전하며!)

Zebra Clipon 수리

찾아보니 벌써 4년. 시간은 쑥쑥도 자란다. 헌데 그 중 2년은 코로나와 함께. 거 참.. 예전보단 펜을 드는 일이 많이 줄었음에도, 그래도 매일 뭔가 끄적이는 버릇은 있어놔서, 이 펜이 많이 혹사(?)를 당한 모양이다. 정확히 4년만에 고장이 나셨다.그런데, 이상하게도 가장 힘이 들어가지…

Continue Reading Zebra Clipon 수리

WordPress: kbd tag 용 CSS.

거두절미: 이런 식으로 보이게끔 하고 싶다. Alt–F2 를 누르세요! CSS 는, 어딘가에서 훔쳐(?)온 건데.. WordPress / Appearance(Theme) / Additional CSS 로 가서 다음을 입력한다. WordPress 에선, ‘Keyboard Input’ 을 선택해주면 자동으로 <kbd> Tag 이 붙여진다.

Continue Reading WordPress: kbd tag 용 CSS.

Bose 는 이제 다른 회사가 된건가..

90년대, 소리가 좀 크다(? 아니 ‘빵빵하다’가 더 어울리려나.)하는 술집에 가보면, 십중 팔구 스피커는 거의 대부분 보스 였다. 그 중에서도 901 을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그 이후로 내겐 ‘보스=힘!’ 공식이 박혀버렸다. 사실, 오디오 기기 관련한 지식은 별로 없었는데, 그런 정보를…

Continue Reading Bose 는 이제 다른 회사가 된건가..

ArchLinux : Code – OSS, VS Code, VSCodium? 뭐가 다른건지? 그리고 ‘뭘’ 쓰는게 좋을지!

기본 지식 ArchLinux 에는 총 3개의 Code 가 제공된다. Code – OSS, VS Code, VSCodium. 이 중에서, pacman 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건 Code – OSS 뿐이다. 나머지는 AUR 을 이용해야 한다. 차이가 있다면 편하냐, 그렇지 않느냐다. 저장소에 있으면 판올림이…

Continue Reading ArchLinux : Code – OSS, VS Code, VSCodium? 뭐가 다른건지? 그리고 ‘뭘’ 쓰는게 좋을지!

Orange Pi 3/4 LTS 가 나왔지만..

재작년엔가, Orange Pi 4 를 사려고 한 적이 있었다. Orage Pi 계열은 이전에도 하나(PC Plus) 산적이 있었고, 지금까지 프린터 서버로 그런대로 잘 사용하고 있다. Raspberry Pi 아류지만, EMMC 가 붙어 있는 등 살짝 개선된 점도 있기에 가격/성능으로 보면 꽤 괜찮은…

Continue Reading Orange Pi 3/4 LTS 가 나왔지만..

VS Code/Codium : 설치한 확장 프로그램들(Extensions)과 세부 설정.

‘확장 프로그램’이라고 했지만, 영어로는 ‘Extension’ 이고, 우리말로는 그냥 ‘확장’이라고만 해놨다. 그럼 그렇게 써줘야 하는데.. 어색하다. 하여 뒤에 ‘프로그램’을 붙였다. Application Program 을 Application 이라고도 부르고, 한국인들도 이걸 그냥 ‘어플리케이션/어플’이라고만 표기/발음하기도 하지만, ‘응용’이라고 칭하는 일은 드물다. (예전 교과서류에서 본 듯은 한데..)…

Continue Reading VS Code/Codium : 설치한 확장 프로그램들(Extensions)과 세부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