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 December 2021

Arch Linux 에는 이미 aur 로 nimf 가 제공되고 있다. 그냥 그걸 설치하면 별 문제는 없는데..이 nimf 는 하모니카라는 곳에서 관리되고 있다. (이 하모니카가 뭔지 잘 모르는 건 몇 년째 변함이 없는데..) 아무튼, 딱 한가지. 안 그래도 별로 예쁘지 않은…

네이버 플러스 멤버쉽으로 이용 중인 티빙. 만화영화 몇 개에 손이 가서 그냥 저냥 공짜 비스무레하게 보고 있긴 한데..어차피 얘는 태블릿에서 주로 보고 큰 티비로는 별로 본 적이 없다. 그동안 안드로이드 TV 를 지원 안했기도 했고. 또, 네이버 연관으로는 720P 까지…

아주 예전에 글꼴 설정법을 정리한 적이 있었다. 지금 보니 무려 11년 전이네.. 대단하군. 그 시절엔 그렇게까지 해야했을진 몰라도, 또, 그 방법이 아직도 유효하긴 하지만, 이젠 뭐 그렇게까지 열심히 파고들 일은 없으므로 거기까지 다시 언급할 일은 없다. 그래도, ArchLinux 를 쓰면서…

이게 뭔 말인지는 reddit 을 참고하고.. 우분투 계열인 KDE Neon 에선 잘 됐었는데, ArchLinux 로 오니까 이게 구글 크롬창과 통합이 돼버린다. 되던게 안되니까 불편하고, 왜 그런지 궁금하기도 하고. Reddit 에 있는 Latte-Dock 제작자의 글을 보고 pwa(구글 캘린더, 각종 사전 등등)…

일단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내려본다. ‘삑’ 소리가 오디오 스피커에서 난다면 더 건드릴 필요는 없다.만약, 이 소리가 PC 스피커로 울려퍼진다면 수정이 필요하다. (PC 스피커/오디오 스피커 동시에 날 때도 마찬가지) .xprofile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없다면 만든다. 이 설정으로 PC 스피커는 꺼진다.다음,…

예를 들어, 한 PC 에서 리눅스 배포판 여러개, MS 윈도우, macOS 등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각각 OS 에 동일한 블루투스 기기(예를 들어 마우스)를 연결해야 한다고 하면, 이때 한가지 아주 껄끄러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OS A에서 마우스/이어셋등을 짝짓기 한 뒤, OS B에서…

역시나 모두 스스로 해야 하는 아치.블루투스 설정도 마찬가지다.당연히, 아치 문서를 보고 정리했다. 설치 위 두개만 설치해주면 된다. 다만 저게 드라이버가 아니기 때문에, 커널 드라이버(모듈)가 설치돼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모듈 확인 뭔가 뜬다면, 제대로 설치돼 있다고 믿으면(?) 된다. 서비스 등록…

이것도 정말 꽤 질긴 삽질끝에 알아냈다.ArchLinux 에서(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커널 5.15 를 쓰는 리눅스 머신이라 해야하려나?), 콜드 부팅 때에는 블루투스가 인식되지만, 소프트부팅(재부팅) 시에는 블루투스가 잡히지 않는(No default controller available) 현상이 있다.결론만 말하자면, 이건 커널 5.15 의 문제라고 한다. KDE…

TL;DR 그리고 refind.conf 편집. 아아아, 정말 아치는 ‘자동’이란게 별로 없다.우분투(데비안이라 해야 하려나?)가 얼마나 편했는지, 새삼 매일 매일 느끼고 있는 중이다. Bluetooth 문제로 인해, 또 며칠을 꽃삽질을 해대다가, 최신 커널(5.15)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듣고 lts(linux-lts 꾸러미)를 설치해봤다. 늘 그렇듯,…

신기하게도, archlinux 에는 autokey 가 기본 꾸러미로 제공되고 있지 않다. 왜 이런걸까?aur 로 있긴한데, 정식판만 제공되고 있을 뿐, 최신 베타는 없다.현재 0.96.0, 베타 10 까지 나와있지만, Arch AUR 에는 베타 8 까지만 올라와있다. 뭐.. 새거를 꼭 써야만 할 이유는 없지만….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