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Python, Perl, Shell script..

예전에 이를 위해 find 를 사용한 적이 있는데.. 좀 더 세밀한 검색이 필요할 땐 find 가 유용하지만, 평소엔 grep 면 충분하다.자꾸 잊기 때문에 정리해본다. (문제는.. 예전에도 정리한 적이 있는 듯 하다는 건데?) 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 i 와 l 등이…

–delete 는 이전에 정리한 적이 있다. 원본에 있는 파일이 지워지면 복사본에서도 지우라는 명령이 된다.헌데, 바로 지워지면 조금 애매할 때도 있다.이럴 때, 복사본에선 바로 그 파일을 지우는게 아니라, 지워졌음을 표시해주게끔 할 수가 있다. 사실, 지워졌음을 표시한다기 보다는 파일명을 바꿔서 백업본임을 알…

rsync 는 따로 책이 한권 나와도 이상하지 않을 듯한 프로그램인데, 아직 rsync 만 설명한 책이 출판된 책은 없나보다. 다만, Backup/Recovery 를 설명하면서 rsync 도 언급된 책은 있긴 한 모양인데.. 나온지는 꽤 됐다. 아무튼간에, 며칠 째 계속 rsync 와 씨름을 하고…

rsync 는 쓴 지 몇년 됐는데, 늘 볼 때마다 새롭다. 그만큼 명령어(선택사항)가 많고, 제대로 문서화가 돼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겠다. 이 모든게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가 입장에서는 man page 로도 충분히 원하는 지식을 얻을 수…

https://explainshell.com/ 에 가서, 원하는 Shell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와 그에 따런 선택사항에 관한 모든 설명을 한번에 볼 수 있다.man page 를 옮겨온 정도지만 그래도 따로 창열고 하나 하나 찾아봐야하는 수고를 덜 수 있어서 훨씬 편하다.왜 이걸 이제야 알았을까. Idan Kamara 님!…

역시나,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왜 Mangle 이란 다소 애매한 단어를 붙여서 한눈에 이해가 안되게 만들었을까? 물론, 애초에 Expansion 이라 붙였다해도 이해가 안되기는 마찬가지였겠지. Mangle 에는 크게 두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모양이 바뀔 때까지 강한 힘으로 부서뜨리거나 으스러 뜨려서 원래 모습을…

이걸 뭐에 어떻게 쓰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programiz.com 을 참고하여 늘 그렇듯 간단하게만 정리해본다. 소스는 위 페이지에서 가져왔다. classmethod 를 정의하는 방법도 두가지다. 허나,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는 방식(@classmethod)만을 정리하기로 한다. 다른 방법은 위 글에 나와있다. 위에 staticmethod 도 같이 나와있다. classmethod 를…

간단하게 생각해서, 그냥 dictionary 보다는 defaultdict 를 사용하는 편이 여러모로 편하다.RealPython 을 참고하여, 몇가지만 정리하려한다. defaultdict 는, 키가 없는 dict 를 참조했을 때 KeyError 가 발생함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기본이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기본 dict 로 작업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aa[‘name’] =…

이건 뭐?또, 이건? 둘 다 정수 ‘백만’을 뜻한다. Python 3.6, Pep 515 부터 생긴 규정이라는데, 숫자를 좀 더 읽기 쉽게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따라서, 서양 규격에 맞춰버려 몇십년째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는 숫자 천단위 끊기도, 적어도 파이썬에선 한국(동양?)식 만단위 끊기로 바꿀 수…

Decorator 는 말 그대로, 다른 함수에 살짝 장식(양념?)을 하는 개념이라 생각하는게 좋겠다. 제대로 써본 적이 없어서 지금 단계에선 뭐라 말하기가 어렵지만.. 책들 설명에 따르면, 주로 버그를 찾을 용도(Debugging)로 사용된다고 한다.Introducing Python(1st Ed.) p99 에는 이렇게 설명이 나와있다. A decorator i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