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Ku|U)buntu OR KDE Neon

Kubuntu, KDE Neon, Ubuntu 에 관한 기록장

Audacious qt 설치 및 설정

이 글은 2018년에 쓰여졌는데, 2021년 시점에서 보면 달라진 점이 있다.허나, 현재 Audacious 를 쓰고 있지 않기에(qmmp 사용 중), 아주 살짝만 내용을 바꿨다. Audacious 는 3.8 인가부터 qt 판을 따로 지원한다. 그런데, 우분투에서 기본 제공하는 Audacious 에는 qt 판이 빠져있다.우분투 18.04…

Continue Reading Audacious qt 설치 및 설정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 바꾸고 싶은데.. 두번째.

이 글은, 바로 전 글, ‘첫번째’에 비해서 훨씬 복잡하고, 따라서 헷갈린다.그러나, find 와 file, 나아가서 awk 에 대해 공부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긴 했다. 다시 말해서, file 명령을 사용할 일이 없다면, 굳이 이 방법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특정 경로 밑에…

Continue Reading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 바꾸고 싶은데.. 두번째.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 바꾸고 싶은데.. 첫번째.

이게 말은 쉬운데, 생각보다 꽤 까다로운 작업이다.간단하게 생각하면, grep 로 할 수는 있다. -r : Recursive -w : 단어만 매치. (문구를 포함하는 단어 찾지 않음)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이 텍스트 파일일 경우엔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만약 이진파일까지 포함되어 있다면??…

Continue Reading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아 바꾸고 싶은데.. 첫번째.

Pipeline, Redirection; tee 명령

tee 명령은 대문자 T 를 따서 붙인 듯 한데, T 자를 오른쪽으로 90도 돌린 모양을 상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어떤 명령을, 화면(stdout)으로도 보내고 싶고, 다른 명령어의 인수(stdin)로도 보내고 싶을 때 이 명령을 쓴다. 위 명령은, ls 결과를 stdin 과 list.txt 로…

Continue Reading Pipeline, Redirection; tee 명령

Pipeline, Redirection; 무슨 차이?

아무 생각없이 수십년(까지는 아니더라도..)을 사용해왔던 pipeline 과 redirection. 무슨 차이가 있는 건지, 제대로 이해를 못했었다. 적어도 며칠 전까지는.잊기 전에 정리한다. 이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선 Standard Streams 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복잡한 내용은 위키피디어를 참고하고, 아주 간단하게 이렇게 정의할 수 있겠다. Standard…

Continue Reading Pipeline, Redirection; 무슨 차이?

pipeline, 또 다시 한번 도전: xargs 사용법 – 초판.

# 초판본.이 글은 2018.11.17 에 썼다.헌데, 지금 다시 읽어보니 xargs 에 대해 확실하게 알지 못하고 썼네.그냥 지우고 다시 제대로 된 내용으로 채울까 하다가, 이건 이거대로 의미가 있겠기에 그냥 냅둔다. 대신 수정본을 만들었다. 따라서, 이 글은 그냥 무지했던 과거를 날려버리지 않고…

Continue Reading pipeline, 또 다시 한번 도전: xargs 사용법 – 초판.

KDE Plasma Night mode?

아직, 공식 지원되지는 않지만, 궁하면 이렇게 Redshift Control 을 쓸 수도 있다.일단, Kubuntu 18.04 기준으로, 그리고, 여기에 있는 Redshift Control 을 설치한다.이 페이지에서는 libqt5qml-graphicaleffects 을 설치하라고 하는데, 18.04에는 이 모듈은 사라졌고, qml-module-qtgraphicaleffects 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 듯 하다. 이 모듈은 기본…

Continue Reading KDE Plasma Night mode?

Bomi, 우분투 18.10 에서도 살아남다.

아직은 보미를 필요로하고, 좋아해주는 사람이 있어서, 그래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모든 공은 Dmitry 에게! 우분투 18.10 부터 보미가 필요로 하는 라이브러리(ffmpeg4)에 변화가 있었던 모양이다.그 내용은.. 나같은 까막눈은 봐도 이해할 수가 없다.라이브러리가 바뀐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여, 컴파일 오류를 잡은 듯 하다. 당연히…

Continue Reading Bomi, 우분투 18.10 에서도 살아남다.

KDE Neon 과 VLC. 알 수 없는 유착관계? vlc 삭제는 어떻게?

** 2020.02.20 현재, 아래 문제는 없다. 데스크탑에선 vlc 를 잘 쓰진 않는다. 보미 중단 이후에는 smplayer 를 사용하고 있다. (Bomi 는 18.04 까지는 그런대로 쓸 수 있었는데, 18.10 에선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내 능력으로는 해결이 어려울 듯…??) 물론, Android 에선…

Continue Reading KDE Neon 과 VLC. 알 수 없는 유착관계? vlc 삭제는 어떻게?

Telegram : Chrome Progressive web app.

크롬이 기존 Web App. 을 없애고 Progressive Web App. 이란 걸 도입한다고 했다. 리눅스에선 최근 이게 지원되기 시작했다.만드는 법은 아주 쉽다. 이게 지원되는 웹사이트로 간 뒤, 메뉴(햄버거 메뉴)에 보면, “XXX 설치” 라는 항목을 찾을 수 있다. 선택하여 설치하면 끝. (우분투에선…

Continue Reading Telegram : Chrome Progressive web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