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용 터미널 에뮬레이터인 Tilix 와 macOS 용 iterm2 에서 각각 Nord Theme 을 설치하는 법을 정리한다.
Nord 는 한 곳에서 관리되고 있는 모양인데, 꽤 많은 터미널, 편집기등을 지원해주고 있다.
Tilix
제작자 홈페이지에서 파일을 내려받고, Tilix Theme 위치로 복사한다.
wget -P ~/.config/tilix/schemes https://github.com/nordtheme/tilix/raw/develop/src/json/nord.json
Tilix 를 재시작하면 ‘프로파일’에서 Nord 를 찾을 수 있다.
iTerm2
iTerm 에는 여러가지 Theme 들을 모아놓은 곳이 있다. 여기 있는 테마들은 iTerm 만이 아니고 Konsole, PuTTY, Terminator 등등 여러 터미널 에뮬레이터들을 지원한다. (다만 Tilix 용은 없다.)
Nord 말고도 수많은 테마들이 있으니 골라잡아도 되고, 아니면 압축 파일로 한꺼번에 모두 내려받아도 된다.
Nord 만 필요하다면,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badolato/iTerm2-Color-Schemes/master/schemes/nord.itermcolors
그리고, iTerm – Settings – Profiles – Colors – Color Presets – Import 로 불러오면 된다.
왜 굳이 Nord?
이유는 nnn
때문이다. Tilix 에선 다른 테마를 사용해도 잘 보이는데, iTerm 에선 기본값을 사용하니 nnn 이 잘 보이질 않았다.
vim
역시 Nord Theme 제공. Vim 에서 사용하려면 Plugin 이 필요한데, vim-plug 을 권장하고 있다. (pathogen 이나 Vundle 도 사용 가능.)
예전에도 쓴 적이 있지만, vim-plug 은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이미 설치돼 있다면 또 할 필요는 없다.)
curl -fLo ~/.vim/autoload/plug.vim --create-dirs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junegunn/vim-plug/master/plug.vim
vim-plug 이 있다면, .vimrc
를 열고, 설치 문서에 따라 다음 내용을 덧붙인다. call plug#begin() 과 call plug#end() 사이에 넣어야 한다!
call plug#begin() # 기타 등등등등등... Plug 'arcticicestudio/nord-vim' # 또 기타 등등등등등... call plug#end()
저장한 뒤, vim 을 실행하고, :PlugInstall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 바로 :colorscheme nord
를 수행하면 nord 테마로 즉각 변경된다. 단, 이건 1회성이므로, 영구히 설정하려면 .vimrc 에 명령을 저장한다. (물론, call plug 구문 바깥 쪽에 넣어줘야 한다.)
colorscheme nord
VS Code/Codium
Market 에서 Nord 를 설치하고 설정해주면 된다. (제일 간단하네!)
설정은, Command Palette 를 열고, Color Theme 을 검색한 뒤, Nord 를 택해주면 끝.
Tmux
Tmux 에서 쓰려면, 먼저 tpm(Tmux Plugin Manager)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Tmux config 파일이 필요하다. 나한테는 이 파일이 없어서 만들어야 했다.
기본값은 ~/.tmux.conf
인데, tmp 설명에는 $XDG_CONFIG_HOME/tmux/tmux.conf
도 된다고 한다. 다만, 서버로 설치한 컴퓨터에는 $XDG_CONFIG_HOME 이 없기에, 그냥 $HOME/.tmux.conf 를 선택했다.
먼저, tpm 을 받는다.
git clone https://github.com/tmux-plugins/tpm ~/.tmux/plugins/tpm
이후 .tmux.conf
를 열고, 다음 내용을 넣는다.
# List of plugins set -g @plugin 'tmux-plugins/tpm' set -g @plugin 'tmux-plugins/tmux-sensible' # Nord Theme set -g @plugin "arcticicestudio/nord-tmux" # Initialize TMUX plugin manager (keep this line at the very bottom of tmux.conf) run '~/.tmux/plugins/tpm/tpm'
준비는 끝.
Tmux 를 실행하고, Ctrl–B 를 누른 뒤, I (대문자) 를 누른다. ‘TMUX environment reloaded.’ 라는 문구가 나오면 성공. macOS, QWERTY-Dvorak 자판을 쓰더라도, iterm2 에선 쿼티 단축키가 듣지 않는다. 그냥 드보락 단축키로 눌러야 한다.
적용이 됐는지 안됐는지 알아보려면? 화면 아래 쪽을 보면 된다.


nnn
해도 크게 차이가 나는 듯 하진 않지만..
설명서에 나와 있는 그대로를 옮겨본다.
nord-dircolors 가 설치돼 있어야 하고, 아마도 터미널에서도 Nord Theme 이 필요한 듯 하다.
BLK="0B" CHR="0B" DIR="04" EXE="06" REG="00" HARDLINK="06" SYMLINK="06" MISSING="00" ORPHAN="09" FIFO="06" SOCK="0B" OTHER="06" export NNN_FCOLORS="$BLK$CHR$DIR$EXE$REG$HARDLINK$SYMLINK$MISSING$ORPHAN$FIFO$SOCK$OTHER"
이렇게 먼저 해준 뒤 nnn 을 실행하면 된다. 자주 쓴다면 .zshrc 등에 넣어 놓아도 되겠고, 아니라면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실행해도 되겠다.
이 외에도 여러 환경에서 Nord 를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