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글루스(2015/11/12 23:18)에 있던 글
아마, Vocabulary 공부를 해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꼭 한번은 봤을 법한 단어들이다.
왜냐하면, A 로 시작하기 때문에~ ㅎㅎ 아무리 작심3일로 공부를 했어도 A 단은 대부분 보고 넘어갔을 테니까 말이다.
Agnostic 은 참 어려운 단어다. 한국말로 써놔도 무슨 뜻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불가지론자?
한자를 봐도 마찬가지다.
不可知論者?
뭔 말이야 도대체.
오히려 영영 사전인 Oxford 의 풀이가 더 쉽다.
A person who believes that nothing is known or can be known of the existence or nature of God.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신의 존재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가 없다고 믿는 사람을 말한다고 한다. 이렇게 풀면 이해는 가지만, 그게 정작 뭘 뜻하는 건지는 사실 모르는 건 마찬가지이다. 있는 지 없는 지 알 지를 못하니 신을 믿고 말고할 자체가 없다는 뜻인 것 같긴 한데… 저런 어려운 개념을 내가 어찌 알겠나.
무신론자와는 또 다르다고 하는데, 이 때 말하는 무신론자를 영어로는 Atheist 라고 쓴다.
둘 다 신을 믿지 않는다는 것은 비슷하지만.. 아무튼 좀 다른가보다.
하고 싶은 얘기는 ‘신’에 관한 얘기는 아니고..
컴퓨터 용어로도 Agnositc 이 쓰인다는 것을 얼마 전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 2016.05.17 추가.
Collins 사전엔 컴퓨터 용어에 대한 설명도 나와있다.
combining form in adjective
(computing) not restricted to using one type of hardware or software
Device-agnostic, Platform-agnostic 정도로 쓰이는데, 이것은 ‘종속적이지 않은’, ‘~로부터 자유로운’ 등등으로 번역할 수 있겠다.
즉, 특정 기기나 OS 에서만 돌아가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일 때 저런 표현을 쓴다.
예를 들자면, 데이터 파일(그래픽 파일, 음원 파일 등등)은 platform-agnostic 이라 볼 수 있다. mp3 파일은 안드로이드든, MS 윈도우든, 우분투에서든 잘 돌아가니까 말이다.
Platform 을 God 에 대입하여 생각해보면, 플랫폼이 있는지 없는지 신경쓰지 않는 것.. 정도로 의역해볼 수 있으므로, 바꿔 말하면 어떤 플랫폼에서나 돌아간다고 미루어짐작해볼 수 있겠다.
오랜 만에 영어 공부 해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