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프로그램’이라고 했지만, 영어로는 ‘Extension’ 이고, 우리말로는 그냥 ‘확장’이라고만 해놨다. 그럼 그렇게 써줘야 하는데..
어색하다.
하여 뒤에 ‘프로그램’을 붙였다. Application Program 을 Application 이라고도 부르고, 한국인들도 이걸 그냥 ‘어플리케이션/어플’이라고만 표기/발음하기도 하지만, ‘응용’이라고 칭하는 일은 드물다. (예전 교과서류에서 본 듯은 한데..)
중요한 건 이게 아닌데 왜 딴 소릴.
어떤 VS Code?
먼저 VS Code 이야기를 해야겠다.
데비안 계열에는 MS 제공 VS Code 와, 이걸 오픈소스로만 구성한 Codium 두가지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데비안만 아니고 대부분 배포판에선 그럴텐데.. 아치로 오니 하나가 더 있었다.
그게 바로 Code-OSS 인데, 이게 아치 배포판에선 기본으로 취급받고 있었다. ‘기본’이라고 내 맘대로 정의한 이유는?
물론 있다. 이 꾸러미만이 저장소에 들어가 있다. 나머지는 aur 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귀찮음을 덜고자 Code-OSS 를 설치했다.
MS Marketplace vs Open VSX
Code-OSS 나, Codium 을 택했다면 당연히 Open VSX 만을 택해야겠으나..
세상이 또 그렇지 않은지라 그 쪽(?) 기능이 필요한 때도 있다. 아치 문서에도 이 방법을 언급을 했고, 나도 정리한 적이 있다. 지금은, 마켓 자체를 갈아치우기보다는 그냥 필요한 것들만 내려받아 설치하기로 한다.
설치한 ‘확장(ㅎㅎ)’ 들
Python
Open VSX 에 있다. 따라서 그냥 Code-OSS 에서 검색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걸 설치하면 Jupyter 도 같이 설치된다.
Python 을 설치한 후, Formatter 설정도 해줘야 하는데, Black 을 사용하기로 했다.
또, MS가 배포하는 Code 에서 Python Extension 을 설치하면, Pylance(IntelliSense) 도 함께 설치되는 모양인데, 이건 Open VSX 엔 없다. 따로 내려받아 설치할 수도 있겠으나, 그냥 다른 걸 선택하기로 했다.
Tabnine
Pylance 대체재. 이전까진 Kite 를 썼었는데, 이 회사, 경영권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얘기도 있고, 그 결과로 현재(22.03)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질 않다. (파일을 내려받을 수가 없다.)
검색해보니 Tabnine 도 많이 쓰고 있다고 하길래 갈아탔다. kite 는 추가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지만, 이건 그냥 확장 프로그램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는 건 kite 가 훨씬 더 막강한 기능이 있다는 얘기?)
내 수준에선 Kite 와 Tabnine 간 차이를 못느끼겠다.
그런데.. Pylance/Jedi/Tabnine 간 차이는 뭘까??? 이 얘기는 다른 글에서.
Open Native Terminal
이거, 22년 3월까지도 아직 기본 제공은 되지 않고 있다. 그냥 Code 내에서 터미널을 여는 기능만 있을 뿐. 이 기능이 그다지 인기가 없나? 아무튼, 난 있는게 편해서 설치하려고 했는데..
역시나 Open VSX 에 없고, 대체재도 안보인다.
따라서, 그냥 내려받아 수동설치하는 방법을 택했다.
Subtle Match Brackets
자세한 내용은 연결글을 참고하고..
Shell 스크립트는 vim 으로 주로 해결하지만, 그래도 이게 안되면 섭섭하지.
2019년에 이 문제를 처음 발견했는데, 아직까지 수정되지 않은 걸 보면, 역시 사람들 관심 밖인가보다.
세부 설정
Telemetry 보고 막기
Codium 엔 이 기능이 아예 빠져있지만, code-oss 에는 들어가있긴 하다.
막으려면 이렇게.
Rename Symbol(기호 이름 바꾸기)
변수명을 한꺼번에 바꿔주는 기능(변수명 우클릭 후 ‘기호 이름 바꾸기/Rename Symbol’, 또는 F2)이 전에는 조금 이상하게 작동했었다. 또는, Pylance 등 다른 문제가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위 확장프로그램들이 선택된 지금은 잘 작동하는 듯은 한데.. 혹시 문제가 생기면 참고하기로.
새 파일 열때 기존 파일들 닫히는 문제
이거 오래된 문젠데, VS Code/Atom 개발자들은 이 방식을 고수하는 모양이다. 전에 Sublime Text 를 쓸 땐 안그랬던 듯 한데..
해결하려면 편법 참고.
화면 표시 언어(영어/한국어 등등) 설정.
이런 류 프로그램에서 ‘언어’라고 하면 컴퓨터 언어인지 사람 말인지 알 수가 없다. 한자로 써도 마찬가지.
예전에 써놓은 글이 있지만, 내용만 살짝 가져왔다.
- F1 또는 Ctrl+Shift+P 를 누르고, 언어(또는 Language) 를 입력한다.
- 표시되는 항목에서 표시 언어 구성 또는 Configure Display Language 를 선택한다.
- en 또는 ko 등등으로 바꾼다.
Black/Autopep8
이전 글 참고.
덧붙일 내용 기다리는 중!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