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Linux: fcitx5 설치

QT6 로 인해, Nimf 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돼버렸다. 이 와중에, 최근 새로운 입력기가 개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안타깝게도 제작자가 1년쯤 손을 뗀다고 한다. 딱 1년전인 2021년 1월 10일에 0.1.0 이 공개된 뒤, 딱 1년만에 잠시 멈춤.
현재 판 번호는 과감하게 2.5.6 까지 올라가있긴 하지만.. 괜히 이럴 때 시험해봤다가 아쉬움만 가득할 수도 있으니, 당장은 fcitx 로 만족하기로 한다.
(참.. 이럴 때면 서글픈게, IT 강국이네, 경제대국이네 하면서도, 제대로된 입력기 하나 만들지 못했다는 사실이..)


설치

다음은 KDE Plasma 환경용.

sudo pacman -S fcitx5-hangul fcitx5-qt fcitx5-gtk fcitx5-lua kcm-fcitx5

fctix5-hangul 을 설치하면 fcitx 등등은 의존성으로 알아서 설치되므로 굳이 안해줘도 된다. fcitx5-qt 도 자동으로 설치가 됐는데, 이상하게도 fcitx5-gtk 는 따로 해줘야 했다. 하여, 쓰는 김에 그냥 fcitx5-qt 도 써놨다.
일본어가 필요하다면 fcitx5-mozc 까지 설치.


환경변수 설정

nimf 도 그렇고, fcitx 도 설치 후엔 환경변수를 쓸 수 있게 설정해줘야 한다. 우분투 계열에선 이 작업을 자동으로 해줬던 듯 한데..
ArchLinux 문서에선 환경변수 설치 위치로 기본값인 /etc/environment 를 소개했는데..

아무래도 시스템 위치보다는 사용자 영역이 여러모로 나은 면이 있다.

$HOME/.config/plasma-workspace/env 에 fcitx5.sh 등을 만들고, 다음 내용을 붙여넣는다. (이 파일이 실행파일일 필요는 없을 듯도 한데.. 혹 안된다면 실행권을 주도록.)

export GTK_IM_MODULE=fcitx
export QT_IM_MODULE=fcitx
export XMODIFIERS=@im=fcitx

시험해보지 않아서 확실하진 않지만, /ect/environment 엔 export 를 넣지 않아야 하고, 여기엔 넣어줘야 한다.

설정

Tray 영역에 있는 Fcitx 를 우클릭해서 설정(구성하기)으로 이동해도 되고, KDE Plasma 설정 – 사용자 정의 – 지역 설정 – 입력기 로 가도 된다.

드보락을 사용하고 있다면, ‘한글용 자판 선택’에서 자판: 영어(미국식) – 변형:기본값 을 택해줘야 한다.

Shift-Space 로 전환하기 위해선, ‘전역 옵션 구성하기 – 입력기 전환‘ 을, 입력기를 변경할 때 마다 ‘us/한’ 이 뜨는 모양이 보기 싫다면, ‘입력기 변경시 입력기 정보 표시‘ 를 꺼주면 된다.

이 정도면 쓰는데 지장은 없는데..


몇가지 아쉬운 점

끝글자!

끝글자 문제는 여전히 표류 중.
구글 크롬과, 그 근본에서 같은 뿌리인 VS Code 등에선 아무 문제가 없으나, QT 용인 Kwrite, Kate, featherPad, GTK 용인 Geany 등에선 꼬리를 물고 가는 현상이 반복된다. Libre Writer 는 조금 상황이 달라서, 끝글자가 그냥 사라져버린다.

위는, 이런 식으로 실험한 결과다.

글자를 입력하는 도중, 마우스로 커서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거기서 새 글자를 입력한다.”

  • 크롬 등에선 입력하던 글자가 원래 위치에서 마무리되고, 커서만 이동된다. 즉, 정상 작동한다.
  • Kwrite 등에선 원 글자가 그대로 이동되어 새 위치에서 마무리되고, 새로 입력하는 글자가 바로 이어진다.
  • Libre 에선, 원 글자는 사라지고, 새 위치에서 새 글자가 입력된다.

한자 단어 변환

예를 들어, ‘단어’라고 입력한 뒤, 마우스로 이 단어를 선택하고 한자 변환키를 누르면,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단어 변환 사전이 뜨고, 일부 프로그램에선 아무 변화가 없다.
정확하게는, ‘마우스로 단어를 선택하고’가 아니고, 그냥 ‘단어 뒤에 커서를 놓고 한자키 누르기’가 맞는 듯 하다.

아무튼, 이 기능은 일부 프로그램에서만 작동한다. Kate, Kwrite, featherPad, Libre Writer 등등. 주로 QT 용에서는 제대로 작동하는 듯.
덧붙이면, Nimf 는 이게 아예 되지 않는다. 예전에 개발자에게 건의를 했었으나, 구현이 어렵다(정확하겐 기억나지 않지만)는 답을 들은 적이 있다.

자동 재배열

자동 재배열이라는게 아마도 자/모를 뒤바꿔 입력해도 되는 기능을 말하는 듯 한데.. 역시나 작동하지 않는다.
이건 혹시 내가 libhangul-git 을 설치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 확인했다. 역시나 이 문제였다. Arch 에서 기본 제공되는 구판 libhangul 을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


끝글자 문제만 없다면 95.385217% 쯤 만족한다고 할 수 있을텐데.. 그만한 시간이 지났음에도 이 문제로 고생해야 한다는 점이 여전히 안타깝네.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