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mf 의 한계는 생각보다 빨랐다. Telegram/QT6 지원 불가.

** 글 쓰고 나서 추가
2022.01 현재 QT6 사용 프로그램 :
telegram-desktop, qmmp

따라서 위 2개 최신판은 xBuntu 20.04 계열에선 쓸 수 없다.


한동안은 쓸 수 있을거라 생각했던 Nimf 였는데, 내가 너무 안일(安逸)하게 생각했을까.
2022년이 되자마자 Nimf 한계에 부닥쳐버렸다. (이 글은 아치 리눅스 기준이다.)


현재 Telegram Desktop 최신판은 3.4.3 이다. 며칠전까진 뭐가 설치돼 있었는진 모르겠으나, 아무튼 어제부터 갑자기 Telegram 에서 한국어를 입력할 수 없게 돼 버렸다. 예전에도 Nimf 는 Telegram 에서 지원이 되지 않았던 적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프로그래밍 지식이 일천한 나로서는 잘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이었었는데.. 다시 그 문제가 되풀이 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그 시절에 그랬듯, PWA 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게 알고보니 Nimf/Telegram 문제가 아니고(사실 문제는 문제지만), Telegram 이 QT 6 로 노선을 갈아타면서 생긴, 어쩔 수 없는 한계였다.
Nimf 는 당연히 QT6 를 지원하지 못한다. Nimf 를 이은 Tian 에선 아마도 될테지만, Nimf 는 QT5 까지다. 누군가 수정판을 만들어줄 수도 있겠으나..
글쎄, 과연?


현 시점에서 가장 편안한 대안은 Fcitx 다. Fcitx 는 5 으로 진화했고, 여기서 QT6 를 무난히 지원한다.
다만.. 끝글자 문제는 여전하다. 이게 프로그램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크롬에선 문제가 없고, QT 프로그램들(Kwrite, Kate 등)에선 상태가 심각하다. 또, Flatpak 으로 설치한 LibreOffice 에서도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Nimf 덕에 한동안 끝글자는 신경쓰지 않고 살았었는데..
안타깝네.

그나마 다행이라면, 적어도 Dvorak 지원엔 문제가 없다. 한글용 자판 선택에서, 자판을 영어(미국식), 기본값(즉 QWERTY)을 택해주면 영문 드보락/한글 두벌식을 아무 문제없이 쓸 수 있다.
Fcitx 얘긴 다른 글에서.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