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예전에 글꼴 설정법을 정리한 적이 있었다. 지금 보니 무려 11년 전이네.. 대단하군.
그 시절엔 그렇게까지 해야했을진 몰라도, 또, 그 방법이 아직도 유효하긴 하지만, 이젠 뭐 그렇게까지 열심히 파고들 일은 없으므로 거기까지 다시 언급할 일은 없다.
그래도, ArchLinux 를 쓰면서 몇가지 건드린 부분이 있기에, 그것만 정리하려 한다.
글꼴 위치
이전엔 ~/.fonts 였는데, 이젠 ~/.local/share/fonts 로 바뀌었다.
~/.fonts 도 여전히 인식하긴 한다. 이건 /etc/fonts/fonts.conf 에 해당 내용이 있기 때문인데, 향후엔 안될 가능성이 높다. (아래와 같은 주석도 붙어있다.)
<!-- the following element will be removed in the future --> <dir>~/.fonts</dir>
설정 파일 위치
~/.config/fontconfig/fonts.conf. 딱히 손 볼 곳은 없지만, 한도 끝도 없는(?) Noto 글꼴을 숨기려면 이 파일을 이용해야 한다.
Preset 지우기
fonts.conf 에서 할 수 있는 설정은, 전역으로 몇가지가 미리 제공되고 있다.
이게 조금 애매하긴 한데.. 일단 /usr/share/fontconfig/conf.avail/
에 설정이 있고, 여기서 실제로 쓰일 설정을 /usr/share/fontconfig/conf.default
로 심볼링 링크해야만 한다.
헌데, 그렇다고 해서 또 정말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 파일을 또 다시 /etc/fonts/conf.d
로 심볼릭 링크해야만 진짜로 적용이 된다. 왜 이렇게 복잡한 방식을 취한 건지..?
물론, /usr/share/fontconfig/conf.avail/
를 /etc/fonts/conf.d
로 직접 링크해도 된다. 굳이 /usr/share/fontconfig/conf.default
가 있는 이유는 뭘까?
뭐, 아무튼.
이 중에서 /etc/fonts/conf.d/65-droid-sans.conf
, /etc/fonts/conf.d/65-droid-serif.conf
를 지운다. 이걸 왜 지웠었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는데, 사실 있으나 없으나 사용함에 별 지장은 없다.
다만, 해주면, sans, serif Alias 에서 droid 계열은 빠진다. 글꼴 자체가 보이지 않게 하진 않는다.
LCD filter 설정
얘도 해주나 안해주나 별 차이가 없는 듯은 한데..
아치 문서에 따라 ~/.config/fontconfig/fonts.conf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match target="font"> <edit name="lcdfilter" mode="assign"> <const>lcddefault</const> </edit> </match>
일단은 이 정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