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만 정리한다. 아직 잘 쓸 줄을 몰라서.
설치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모양인데, pip 으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설치하는 방법을 택했다.
python3 pip install --user jupyterlab
이를 위해서는 우분투 꾸러미 pip(pip3)가 아니고, 사용자 계정에 pip 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local/bin
이 실행 경로로 잡혀있어야만 한다.
Anaconda 를 설치해도 Jupyter Notebook 이 된다는데, 따라 해봤지만 뭔가 오류가 발생했다. 그냥 실행은 되는데, VS Code 와 연동에서 실패했다.
실행
jupyter-lab
실행하고 나면, 웹브라우저에서 새 창이 열리고,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로 써도 되지만, VS Code 와 연동하는게 여러모로 편하지 않을까?
필요한 것은 서버 주소인데, 이건 jupyter-lab
을 실행한 터미널에 나와있다. 이런 형식이다.
http://localhost:8888/?token=xxxxxx.....
VS Code 연동
VS Code Extension 에서, Python, IntelliCode 를 설치한다. IntelliCode 는 필수는 아니고, 그냥 코딩 편의를 위함이다.
Shift-Ctrl-P 를 누르고, ‘Python: Create Blank New Jupyter Notebook’ 을 택한다.
이제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할 서버를 결정해야 하는데, 일단 Default 로 해보고 문제가 없으면 괜찮지만, 만약 잘 되지 않으면, 위의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 당연한 얘기지만, Jupyter Notebook 을 VS Code 에서 사용하려면, 반드시 먼저 jupyter-lab
을 실행시켜야만 한다.
** VS Codium 에서도 물론 된다. 다만, IntelliCode 는 MarketPlace 에 없다.
물론, 따로 내려받은 뒤 설치해줄 수는 있다.
$ codium --install-extension VisualStudioExptTeam.vscodeintellicode-1.2.10.vs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