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기기 자체 포맷은 다른 곳에서 했다고 치고..
몇몇 꾸러미가 필요하다.
opkg install kmod-usb-storage kmod-fs-ext4 block-mount usbutils lsblk
ext4 를 사용할 경우에는 kmod-fs-ext4 가 필요하지만, 기타 다른 파일시스템을 쓸 경우엔 적절한 꾸러미를 택해야 한다.
usbutils, lsblk 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위 꾸러미들을 설치한 뒤, 일단 lsblk
로 파티션이 잡혔는지 확인한다. 시험삼아 /mnt 등으로 마운트해서 이상이 없는지 살펴본 뒤, fstab
에 추가한다.
헌데, 당연히 /etc/fstab
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openwrt 에는 나름의 fstab 이 또 있었다.
block-mount 를 설치하면 /etc/config/fstab
이 생긴다. 여기에 현재 기기를 추가할 수 있다.
block detect | uci import fstab
그리고 /etc/config/fstab 을 보면 현재 기기가 추가되어 있다.
config 'global' option anon_swap '0' option anon_mount '0' option auto_swap '1' option auto_mount '1' option delay_root '5' option check_fs '0' config 'mount' option target '/mnt/sda1' option uuid 'xxxxxxx.... option enabled '0'
target 디렉토리를 적절히 바꾸고, enabled 를 1 로 바꾼뒤, block mount
를 하면 설정이 적용된다. Reboot 하여 껐다켜도 적용되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