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dr
근묵자흑(近墨者黑).
나쁜 친구의 꾐에 넘어가 엉뚱한 결론을 내고야 말았다.
아래 있는 makeuseof 는, 적어도 tightvnc 에 대해선 엉터리다. 엉터리라기보다는 날림?
제대로된 다른 글을 보고 나서 성공할 수 있었다.
이런 젠장!
** 아래 글은 ‘기술’면에선 남겨둘 가치가 없으나, 그래도 써놓은게 아까워서 지우지는 않으련다.
외부에서 Chrome Cast 에 접속하고자 시작한 일이었으나, 아직 해결책을 찾지는 못했다.
외부에서, 집에 있는 안드로이드로 접속 한 후 거기서 Chrome Cast 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봤는데, 외부에서 안드로이드로 바로 접속하는 게 쉽지 않다. 게다가 루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래서 서버에 접근해서 데스크탑을 실행한 뒤, 거기서 구글 크롬을 돌리는 방법을 생각해봤다.
다음 글을 참고하여 꽃삽질을 냅다 해보고 있는 중인데, 일단 VNC 는 실패다.
makeuseof : How to Establish Remote Desktop Access to Ubuntu From Windows
일단은, 설치법을 간단히 정리한다.
sudo apt install tightvncserver
설치가 끝나고, 저 글에서는 sudo tightvncserver
를 실행하라고 했는데, 그렇게 되면 .Xauthority
가 root 소유로 바뀌게 되어, 일반 사용자로는 데스크탑(GUI)을 띄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냥 일반 사용자로 tightvncserver
를 실행한 뒤, 시키는대로(?) 비밀번호등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다음이 문젠데, tightvnc 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선 일단 VPN 이 설정 되어 있어야 한다.
VPN 은 돼 있다는 가정 하에, 안드로이드에서 Vnc Viewer 를 통해 접속을 했다.
서버 주소는 192.168.0.3:1 등으로 사설 IP:1 형식이다. 이 주소는 tightvncserver 를 실행할 때 나오므로 그대로 적어주면 된다. Password 도 설정한대로 입력한다.
그런데, 이렇게해서 연결된 화면은, 내가 보는 데스크탑 화면이 아닌, 새로운 X 화면이 된다. 데스크탑 런처등 아무 것도 뜨지 않고 그냥 정말 예전에 보던 X Window 만 덩그러니 떠 있는 이 황당함.
게다가 이 설정으로는 구글 크롬을 실행할 수도 없다. (뭔가 문제가 많다!)
내가 아직 공부가 부족한 모양이긴 한데..
아무튼, 지금까지는 실패. 뭔가 더 방법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