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Server에서 GUI 환경(Xubuntu) 추가.

이전에 쓴 글이 다소 지저분하고, LxDE 도 언급되어 있어서, 이번 글에선 Xubuntu 에만 집중하여 정리한다.


우분투 서버를 설치한 뒤, GUI 환경을 쓰고 싶어졌다면?
아예 GUI 로 전환을 하려는 건 아니고, 필요할 때만 가끔씩 GUI 로 가고 싶다면?


다음 글들을 주로 참고했지만, 거기에 내 창의력(?)을 더했다.


** LxDE, LxQT 도 설치해봤지만, Xfce, 거기에 Xubuntu 환경이 제일 사용하기 편했다. 따라서 주분투에 관해서만 정리한다.

Xubuntu Desktop 설치

sudo apt install xubuntu-desktop

apt install xfce4 도 되긴 되는데, lightdm 이 설치되지 않아 startx 로 실행해야 한다. 그 외 또 다른 불편이 있을 수 있는데, 더 이상 진행해보질 않았다.
그냥 xubuntu-desktop 을 선택.

설치가 끝나고, 재부팅하면 Lightdm 이 실행되어 GUI 환경으로 부팅하게 된다.
내가 원하는 건 이런 건 아니다. 필요할 때만 GUI 가 실행되게끔 하고 싶다!

GUI 자동 실행 정지

사실, lightdm 이 실행됨으로 인해 얼마만큼의 CPU 가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큰 차이가 날 것같진 않지만, 그래도 괜히 쓸데없는 낭비(?)는 할 필요가 없으므로, lightdm 서비스를 실행되지 않게끔 처리한다.

일단 GUI 로 로그인한 뒤(또는 ssh 접속으로),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sudo systemctl disable lightdm

재부팅하면, 다시금, 친숙한(?) 커서가 반짝이는 투박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GUI 실행

여기에서, 다시 GUI 로 접근하고 싶다면, lightdm 서비스를 시작시키면 된다.

sudo systemctl start lightdm

이렇게 되면 GUI 가 뜨는데, 여기서 또 한번 PW를 넣어줘야 한다. 결국 GUI 로 진입하기까지 PW 를 최소 3번은 입력해야 되는, 조금은 귀찮을 수도 있는 상황이 된다.
처음은 CLI 로 로그인할 때, 두번째는 sudo systemctl start lightdm 에서, 세번째는 GUI 로그인 화면에서.

GUI 자동 로그인

위 단계에서, 적어도 마지막은 줄일 수 있다.
즉, 자동로그인이 되게 설정할 수 있다. Ubuntu HelpArchLinux 문서를 참고했다.

** 좀 더 자세한 내용은 Lightdm 해상도와 자동로그인 설정을 참고.

/etc/lightdm/lightdm.conf.d 에 적절한 파일(ex. 20-autologin.conf) 을 만들고, 다음을 추가한다.

[SeatDefaults]
autologin-user=<userid>

Xubuntu 에 메뉴 항목이 안보여?

왜 그런진 모르겠지만, 주분투 메뉴 항목이 보이질 않는다.
수동으로 넣어줘야 했는데, UbuntuHandBook 을 참고했다.
xfce4-whiskermenu-plugin 이 필요하다는데, 내 경우 설치는 되어 있으나 패널에 등록이 되지 않았다.

Panel 을 우클릭하고, Add New Items 를 통해 Whisker Menu 를 추가해준다.

GUI 종료

GUI 를 다 사용하고 나면, 그냥 Reboot 해도 되고, lightdm 을 중지 시켜도 된다.

sudo systemctl stop lightdm

Intel Graphic Tearing 관련 설정

Nvidia 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설정해줄 수 있지만, Intel 쪽은 이런 게 없는 듯 하다.
기본 설정 상태로 동영상을 본다든가, 아니면 웹브라우저를 아래 위로 스크롤만 해도 화면이 일그러지는 현상(이걸 Tearing 이라고 한다. 예전에 이 현상을 영어로는 뭐라하는지 궁금해서, 찾아내느라 웹을 뒤지고 다녔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더욱 잊혀지지 않는 단어/표현.)

Tearing 을 없애려면, 다음 디렉토리/파일을 생성하고, 이런 내용을 넣어줘야 한다.

sudo mkdir /etc/X11/xorg.conf.d
sudo vim /etc/X11/xorg.conf.d/20-intel-graphics.conf

# 다음 내용 입력
Section "Device"
   Identifier  "Intel Graphics"
   Driver      "intel"
   Option      "TripleBuffer" "true"
   Option      "TearFree"     "true"
   Option      "DRI"          "false"
EndSection

다음 글을 참고했다.

Pulse Audio 오류? inotify 확인/설정

Pulse 에 문제가 있다면, inotify 문제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연결된 글을 살펴보고, 해결법은 아래와 같다.

$ sudo sh -c 'echo fs.inotify.max_user_watches=32768 > /etc/sysctl.d/60-inotify.conf'

Google Chrome 및 한국어 글꼴 설치.

wget https://dl.google.com/linux/direct/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sudo apt install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sudo apt install fonts-nanum

입력기(fcitx) 설치.

sudo apt install im-config fcitx-hangul
im-config -n fcitx

이렇게 끝!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