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는 영어가 아니다.

물론, ‘언택트’라고 한글로 적었으니 영어가 아니겠지만, 영문자로 바꿔서 Untact 라고 해도 역시 마찬가지.

어느 잘나신 분들이 남의 나라말까지 만드는 지는 모르겠으나, 요즘 이런 표현들이 자주 눈에 띈다.

‘뉴트로’도 이런 부류다. New + Retro 를 결합한 표현이라는데, 역시 영어권에선 이런 단어를 쓰지 않는다.
요즘 애들이 많이 쓰는 ‘텐션’이란 어구도, 전혀 다른 뜻으로 이 나라(그리고 일본)에서 쓰이고 있다. 일본의 ‘아이도루 구루-뿌’가 부른 노래 중에 이 표현을 쓴 게 있기에, 아마도 일본에서 수입(?)된 게 아닐까 짐작만 해본다. (애들이 말하는 ‘텐션’은, 영어로 표현하자면, ‘High‘ 에 가깝다. Collins 사전 #18 참고.)

언택트는, Un + Contact 라는 듯 한데, 우리말 비대면(非對面)을, 영문자 조각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신조어라고 보여진다. 구글에서 이 단어를 검색하면, 한국과 관련이 없는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
사실, Contact 을 ‘대면’이라 보기에도 애매한 면이 있다.

어쨌든, ‘Untact’, 이건 영어가 아니다.
‘역대급’이란 단어도 만든 사람들이니 언택트가 뭐 대수랴.

그렇다면, ‘비대면’을 영어로는 뭐라 해야 하는 걸까?
찾아보니, ‘대면’은 Face-to-face communication 이란 표현을 쓰는 듯 하다. 따라서 반대는 (Un.. 이 아니고) Non Face-to-face 정도가 되겠다.
Forbes 에 올라온 글에는, 아예 ‘Digital Communication’ 이란 표현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나같은 무식쟁이가 뭘 알겠나.
그런데, 도대체 이런 단어들은 ‘누가’ 처음 만들어 쓰는 걸까..?
대한민국에서는 꽤 영향력있는 경제용어가 된 듯 한데, 그렇게 생각하면 꽤 학식(?)있는 누군가의 입(손?)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을텐데..

거 참.

Author: 아무도안

40 thoughts on “언택트는 영어가 아니다.

  1. 안녕하세요, 가짜 영어.. 진원지를 함께 제보합니다.. “‘언택트(un+tact)’는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에 부정∙반대를 뜻하는 언(un)을 붙인 조합어로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 등이 저서 ‘트렌드코리아 2018’를 통해 새롭게 제시한 단어입니다.”(인용출처: https://blog.cheil.com/43567)

    1.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이상하게도 이 글이 제 블로그에서 꽤 인기가 있네요. 적어도 몇달 째 1/2등을 다투고 있습니다. (다른 글은 MariaDB 관련한 내용인데..)
      말씀해주신 내용은, 이 글을 쓰고 나서 언젠가 기사에서 접했더랬습니다.
      정확히 그 기사가 뭐였는지 다시 찾아봤는데요, 몇몇 후보(?)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조선일보 기사입니다.
      저 기사에서는 ‘전문가’라는 분들께서, ‘뜻만 통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전문가가 그렇다면 그런 거겠지요.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라는 속담이 여전히 강력하게 통용되고 있나봅니다.

      외국에선 어떤지 전혀 알 수가 없지만, 이 나라 사람들은 이런 ‘새로운 단어’를 참 좋아합니다. (영어권도 신조어가 쏟아져나오고 있기에, Urban Dictionary 같은 서비스가 있겠죠. 다만, 이런 단어들이 주 소비층을 넘어서 다른 세대에까지 전파되고 있는지까지는 모르겠습니다.)
      벌써 20년 가까이 돼가는 듯 하지만, ‘그닥’이란 단어는 이젠 거의 표준어처럼 쓰이고 있고, 최근엔 ‘1도 없다’ 등의 새로운 말이 굉장히 빠르게 자리를 잡아버렸죠.
      그 외에도 수두룩하겠죠? 다만 제가 신기술은 좋아해도 신조어엔 전혀 관심이 없어서 말이죠.

      답글이 길었군요.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