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tosh UEFI Firmware 설정.

사실 별 건 없는데, 반드시 기억해둬야할 몇가지가 있다.

기본으로 설정(Load Defaults)한 뒤, 다음 사항들을 조정한다.

  • Intel VT-d : Disable (*)
  • XHCI hand-off : Disable (**)
  • System Time and Alarm Source : Legacy RTC (Asus mainboard)
  • CSM : 경우에 따라. (***)
  • Secure Boot : Disable

이 정도면 큰 문제는 없다.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VT-x) 는 Enable 되어도 관계가 없다.

* VT-d
만약, 펌웨어에서 VT-d 를 Enable 했다하더라도, Clover bootloader 에서 boot option 으로 dart=0 을 추가하면 된다.

** XHCI hand-off
이건, 꼭 Disable 로 설정해야 한다기 보다는, 보다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내 경우, 이걸 뭐로 하든, USB 3.0 기기는 제대로 연결되질 않았다. 물론, USB 2.0 포트로 연결하면 제대로 작동하지만, USB 3.0 기기를 3.0 포트에 연결하면, 아예 인식을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해결할 방법은 있는 듯 한데, 무지하게 복잡해보인다.)
어쨌든, 일단은 Disable 로 하는게 좋겠다.
(리눅스, MS 윈도우에서는 Enable 로)

*** CSM
Disable 해도 잘 작동하지만, 모니터가 2대 이상이라면, 반드시 CSM 이 켜져있어야 한다.
또는, CSM 을 끄고, 모니터를 1대만 연결한 상태로 부팅한 후, 그 상태에서 나머지 모니터를 연결하면 문제없이 작동하긴 한다.
그러나, 매번 이렇게 꼈다 뺐다 할 순 없으므로, CSM 을 켜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CSM 을 켜면, 초기 화면(UEFI 가 뜨는 화면)이 평소와는 다른 모니터에 뜨기 때문에 이것도 좀 거슬리긴 하지만..

해킨토시의 길에는, ‘타협’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도록!


Asus 보드에서 펌웨어를 최신판으로 올렸다가 부팅이 안되어(RTC 문제) 짜증이 나던 판에, 보석(?)같은 글을 발견하여 그래도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었다. 위에 연결한 글에도 나와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 때문에 Asus 보드를 다른 회사 제품으로 교체했다고도 하는데..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