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그대로(Verbatim) 해석해보자면, ‘손에 케익을 들고 먹어라’ 가 되겠지만, 저 문구의 뜻을 알고 다시 해석해보면, 약간은 모순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손에 케익을 유지하고 있는 동시에 먹어라’
이게 저 표현에서 의도하는 바인 듯 하다. 손에 들고 있으면서도 먹을 수는 없다. 물론, 케익 조각이라는게 한 입에 다 먹을 수 있는 건 아니니, 한번에 이해가 되진 않는다. 한입 베어물면, 남은 조각은 손에 충분히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케익을 사탕(한 알)으로 바꿔보면 상황 파악이 된다. 사탕 한 알은, 손에 쥐고 있든가, 입으로 넣어 먹어버리든가 둘 중 하나지, 두가지 행위를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는 없다.
Collins 사전에선 이렇게 풀이하고 있다.
to get the benefits of two different situations or things, when you should only get the benefit of one of them
Collins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일석이조는 불가능하고, 양자택일을 해야만 하는 상황일 때 쓰는 표현인가 보다.
이런 표현이다보니, 주로 부정문 형태로 많이 쓰인다.
The Chancellor can’t have his cake and eat it: interest rates will go up, but tax revenues will go down.
I’ll have no money at all left after this holiday. But you’re having a great time, aren’t you? You can’t have your cake and eat it!
혹은, 평서문으로 쓰더라도, 둘 다 취할 순 없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the king wanted to have his cake and eat it—to marry Mrs Simpson and to remain on the throne
내게는 저 예문의 배경 지식이 없으므로 문장이 와닿지가 않지만, 찾아보니, 에드워드 8세는 Simpson 과 결혼하기 위해 왕권을 내려놓았다고 한다.
오랜만에 영어공부!
Macmillan RSS 에서 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