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 을 설치하려면, 새 글 참고.
2019/12, 우분투 18.04 기준으로, 현재 winehq 에 올라와 있는 wine-stable 은 4.0.3 인데, 우분투 저장소에는 3.0 까지만 올라와 있다.
3.x 와 4.x 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winehq 저장소를 추가하는 방법과, wine 설치까지 정리해본다.
winehq 에 설치법이 나와있는데, 그대로 따라하면 내 입맛(?)에 맞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게 뭐냐하면.. /etc/apt/sources.list.d/xx.list
에 저장소가 추가되는 게 아니고, /etc/apt/sources.list
에 추가된다. 이러나 저러나 결과는 같지만, 관리면에서는 차이가 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살짝 변형해본다.
# 저장소 추가 sudo sh -c 'echo "deb https://dl.winehq.org/wine-builds/ubuntu/ bionic main" > /etc/apt/sources.list.d/winehq.list' # 키 추가 wget -qO - https://dl.winehq.org/wine-builds/winehq.key | sudo apt-key add - # 키 추가 다른 방식 wget -qO - https://dl.winehq.org/wine-builds/winehq.key | gpg --dearmor | sudo dd of=/etc/apt/trusted.gpg.d/winehq.gpg
키 추가를 WineHQ 대로 하자면, key 를 먼저 내려받고 파일로 저장한 뒤, 그걸 추가하는 방식인데, 그렇게 되면 나중에 필요없어진 winehq.key 파일을 사용자가 지워야 한다. (그러나 그런 내용은 적혀 있지 않다.) 따라서, 그냥 Std Input 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바꿨다.
키추가 다른 방식은, /etc/apt/trusted.gpg.d 에 키가 저장되어 좀 더 관리가 편한 장점이 있다.
이제 저장소를 추가했으니 설치하면 끝.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wine-stable ttf-mscorefonts-installer --install-recommends # 나눔 계열 글꼴도 덤으로. sudo apt install fonts-nanum fonts-nanum-extra fonts-nanum-coding
설치 한 후엔, 전통(?)대로 winecfg 를 시작하여 ~/.wine 을 생성해야 하는데..
적어도 4.0.3 꾸러미로는, winecfg 를 바로 실행할 수가 없다.
예전엔 와인 관련 실행파일들은 /usr/bin 에 설치되었었는데, 이젠 /opt/wine-stable 에 설치되고, 여기를 실행경로에 추가시켜주지 않기 때문에 wine, winecfg, regedit 등을 바로 실행할 수가 없다.
실행경로에 잡혀있지 않더라도 잘 쓸 수 있다면 굳이 추가할 필요는 없지만..
Bash 와 Zsh 로 나누어 실행경로를 추가하는 방법을 적어본다.
#Bash : ~/.profile 에 다음 내용 추가 #Zsh : ~/.zprofile 에 다음 내용 추가 # Wine Path PATH=/opt/wine-stable/bin:$PATH
그리고 나면, wine, winecfg 등을 터미널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확실하진 않은데, 한국어 글꼴관련 레지스트리는 적어도 4.0.3 에는 이미 적용이 돼 있는 듯 하다.
따라서 일단 프로그램을 돌려보고, 잘 되지 않을 경우에만 추가하는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