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OS: Wine 설치.

역시나, Wine 은 어렵고 취한다.

그래도, Linux 에서 산전수전 다 겪었기에, 그나마 수월하게 설치할 수 있었다.

Wine 은 mp3tag 외에는 이젠 자주 쓸 일은 없는데, 그래도 그게 크다.
mp3tag 은 심지어 Wine 을 포함한 꾸러미를 배포하고 있지만,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레지스트리를 바꿔도 봤지만 제대로 작동하질 않았다.
역시 정공법이 정답.

Wine 은 현재 4.0 이 안정판이고, macOS 에선 xquartz 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이건 homebrew 를 통해 설치하고, Wine 은 홈페이지에서 Pkg 파일을 내려받아 설치한다. Wine 도 homebrew 로 설치할 수는 있지만, 이렇게하면 64 bit 용까지 같이 설치가 되기 때문에 조금 불안정할 수도 있는 여지가 있다고 한다. 어차피 mp3tag 은 32bit 용이므로, 32bit 전용으로 설치하면 되겠다.

brew cask install xquartz

다음, winehq-stable-4.0.pkg을 실행하여 설치. 32bit 만 선택한다.

문제는 이 다음부터인데.. 설치한 뒤 LaunchPad 를 보면 ‘Wine Stable’ 이란 항목이 있는데, 이걸 실행하면 wine 이 뜨질 않고 그냥 터미널이 뜨고 만다.

뭘 어쩌란건가..? 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겠으나.

일단 winecfg 를 실행하여 Wine 실체(~/.wine) 을 생성한다.
늘 그렇듯, 기본값으로는 문제가 있다. 눈에 띄는 문제는 세가지.

이 그림엔 두가지 문제가 섞여있다.

AA 가 적용되지 않아 글꼴이 뭉개져있고, Tahoma 글꼴 문제로 인해 한글이 네모로 표시된다.

한글을 입력했더니..?

한글을 입력하면, 커서가 늘어나면서, 입력 내용을 전혀 알아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해결책은?
리눅스 Wine 때와 같다. 레지스트리를 조절해주면 된다.

위 파일을 내려받아 압축 해제한 후, regedit 를 실행하고, 레지스트리 파일 가져오기로 불러온다.

예뻐졌네!

레지스트리 수정 후 깔끔해졌다.
우분투 때와 달리, macOS 에서는 나눔글꼴(이게 macOS 에 기본 설치가 돼 있네?)과 AppleSDGothicNeo 로만 설정해줬다.

기본 설정은 이렇게 끝.

Wine 을 좀 더 편하게 쓰려면, 다음 경로를 Shell(bash, zsh 등)에 추가해준다.

/Applications/Wine Stable.app/Contents/Resources/start/bin:/Applications/Wine Stable.app/Contents/Resources/wine/bin

Mp3tag 은 아주 잘 돌아간다.
다만.. Finder 와 연동은 어찌해야할지..?


삭제는 어떻게? pkg 파일은 Uninstall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Stack Exchange 의 도움을 얻어, 다음과 같이 삭제할 수 있었다.

  • Launchpad 에서 Wine Stable 삭제.
  • 다음 디렉토리 모두 삭제.
~/.wine
~/.config/menus/applications-merged/wine-*
~/.local/share/applications/wine/
~/.local/share/desktop-directories/wine-*
~/Library/Application\ Support/Wine
Author: 아무도안

5 thoughts on “macOS: Wine 설치.

  1. 포스팅을 보고 있는데 와인까지 설치 후
    한글이 깨져서 안되고 있습니다.리눅스 Wine 때와 같다. 레지스트리를 조절해주면 된다.

    WineKor_for_macOS_Nanum2.reg다운로드
    위 파일을 내려받아 압축 해제한 후, regedit 를 실행하고, 레지스트리 파일 가져오기로

    여기서 파일을 다운받아서 압축을 푸니 reg파일만 있고 regedit는 없어서
    자료요청 좀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1. 제가 쓴 글들은, 저만을 위해 정리해놓았기에 다른 이가 보면 이해하기에 다소 불친절한(?) 내용이 많습니다.
      이 점 이해해주시면 좋겠군요.

      답글을 쓰는 이 시점에, 이미 문제를 해결하셨으리란 생각은 듭니다만.
      regedit 은 따로 설치하는게 아니고, wine 꾸러미에 같이 들어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wine stable’ 을 실행하시면 나오는 터미널에서 ‘regedit‘ 을 실행하시거나, 아니면 그냥 일반 터미널을 하나 여시고 다음을 실행하셔도 되겠습니다.

      /Applications/Wine\ Stable.app/Contents/Resources/wine/bin/regedit

      1. winecfg를 치면 나오는 터미널에서 regedit하는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 어플로 와인설치를 했습니다.
    선생님 블로그를 보구요.
    저는 한글을 쓰고싶어서 한글2010은 설치했는데

    appleui-iMac-Pro:hwp80 apple$ ls -al hwp.exe
    -rwxr-xr-x 1 apple staff 4334760 2 12 2010 hwp.exe
    appleui-iMac-Pro:hwp80 apple$ ./hwp.exe
    -bash: ./hwp.exe: cannot execute binary file
    appleui-iMac-Pro:hwp80 apple$ pwd
    /Users/apple/.wine/drive_c/Program Files/hnc/hwp80
    appleui-iMac-Pro:hwp80 apple$

    이 명령으로 한글이 실행이 되어야 정상이 아닌가요?
    왜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1. 잘 해결되셨다니 다행입니다만..
      이런 말씀드리기 죄송스럽지만, 갈 길이 멀어 보이는군요.

      전 macOS 를 아주 한정된 용도로만 쓰고 있어서 관련지식은 거의 없습니다만, wine 과 관련하여 오히려 리눅스보다도 사용법이 까다롭다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리눅스에서 와인을 설치하고, 그 뒤에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알아서 바로가기를 만들어주는데, macOS 에서는 안그러는 것 같더군요.
      사용자가 다 알아서 해야 하는 그런 분위기였습니다.

      따라서, 전자돌이 님은, wine 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합니다.
      위의 결과만 보고 말씀드리자면, wine 을 설치했다고 해서,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는 않습니다.
      즉, macOS 에서 바로 exe 를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wine 을 먼저 실행하고, 그 뒤에 매개변수로 exe 를 넣어줘야 합니다.
      제가 쓴 글로는 https://www.nemonein.xyz/2019/04/1898/ 이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을 듯 한데..

      macOS 에서 wine 실행하는 법에 관해 좀 더 검색하시고 공부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