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brew 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던 때는, PSP 를 가지고 놀던 시절이었던 듯 하다. PSP 에 사용자들이 만든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었는데, 그냥은 물론 안됐고, Custom Firmware 를 설치해야만 가능했었다.
macOS 에도 Homebrew 가 제공되고 있다(?). 역시나, 기본 제공되지는 않고 사용자가 알아서 설치해줘야 한다.
그런데, Homebrew 의 뜻은 뭘까?
Brewery 라하면 (주로 맥주)양조장인데, homebrew 는 사전 뜻풀이로는 요즘 흔히들 볼 수 있는 ‘수제 맥주’라고 할 수 있겠다.
uncountable noun
Home-brew is beer or wine that is made in someone’s home, rather than in a brewery.
Collins Dictionary
아마도 최초 개발자가 그런 재미있는 이름을 붙인 모양이다. Wikipedia 에도, ‘The name means building software on your Mac depending on taste.’ 라고 쓰여져 있다.
Debian/Ubuntu 의 dpkg/apt, Fedora 의 yum, Archlinux 의 pacman 과 유사한 개념이라 생각하면 별 무리가 없다.
잡소리는 여기까지.
brew 명령 (CLI 프로그램용)
- brew install <package> : package 설치
- brew info <package> : package 정보. 판본 정보및 설치되었는지 여부, 의존성 등등을 표시해줌. brew search 보다 유용.
- brew search <package> : 단순히 해당 꾸러미가 Homebrew 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만 확인
- brew uninstall <package>
- brew list : 설치한 프로그램 목록 출력
- brew postinstall <pacakge> : post install 과정만 다시 진행
- brew update/upgrade : 판올림 (모든 프로그램)
brew cask 명령 (GUI 프로그램용)
(cask : (특히 알코올 음료를 넣는) 큰 통; 한 통의 양)
- brew install –cask <package>
- brew info –cask <package>
- brew list –cask : 설치한 프로그램 목록 출력
- brew reinstall –cask <package> : 재설치
- brew uninstall –cask <package> : 삭제
- brew upgrade –cask : 판올림 (모든 프로그램)
이 정도면 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