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tosh 에서 사운드를 설정하는 방법도 한가지는 아니다. VoodooHDA.kext 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여기서는 비교적 최신기술(?)인 AppleALC 를 사용해보도록 한다.
이 방법은 데스크탑/랩탑에 모두 적용된다.
랩탑을 사용할 때는 RehabMan 의 config.plist 를 사용하면 몇몇 설정은 이미 되어 있는 듯 한데, 아무튼 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다. (EFI 는 물론 마운트 해야 한다.)
아래 방법 중, Inject 는 반드시 해줘야 하지만, 나머지 설정은 상황에 따라 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고, 안해줘도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단은 Inject 만 해보고, 안되면 나머지 설정을 하는 편이 좋겠다.
Clover configuratior 를 사용하여 config.plist
를 열고, ACPI 탭 / DSDT 항목에서 다음 내용이 있는지를 찾는다.
- Comment: Change HDAS to HDEF
- Find* [HEX]: 48444153
- Replace [HEX]: 48444546
만약 없다면, List of Patches 에 위 항목이 있는 지를 찾고, 있다면 추가한다.
아예 없다면, + 키를 눌러서 새로 추가한다.
Devices 탭 / Audio 항목으로 이동하여 ResetHDA 를 선택하고, Inject 에 사운드 코덱 번호를 넣는다. Layout 번호는 AppleALC 에서 알아낼 수 있다.
ALC293 은 28/29 두 개인데, 모두 작동했다.
ALC887 은 1, 2, 99 정도가 작동하는데, 99 로 해야 디지털출력이 된다.
config.plist 는 이걸로 끝. 저장하고 끝낸다. EFI 는 언마운트.
다음, 핵심 파일인 AppleALC 를 설치해야 한다.
압축풀고, AppleALC.kext (이게 파일이 아니고 디렉토리다.) 를 /Library/Extensions
로 복사한다. 그리고 kextcache 를 해줘야 한다.
$ sudo cp -R ./AppleALC.kext /Library/Extensions $ sudo kextcache -i /
여기서 주의할 점!! 만약 이렇게 명령을 내리면!
$ sudo cp -R ./AppleALC.kext/ /Library/Extensions
엉뚱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 AppleALC.kext 뒤에 / 가 붙어 있으면, AppleALC.kext 디렉토리 자체를 복사하는게 아니고, 그 하위 디렉토리를 복사하게 되어 잘못된 결과를 불러일으킨다. 특히 Tab 키로 자동완성을 사용하면 / 가 붙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방법이 귀찮으면 이걸 해주는 kext utility 도 있는데, 굳이 사용할 필욘 없다.
Kext 에 설치에 관한 글은 다음글 참고.
tonymacx86: [GUIDE] Installing 3rd Party Kexts
AppleALC 는 Lilu 에 의존하는데, Lilu 는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보고.. 없다면?? AppleALC 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
이제 재부팅만 남았다.
부팅이 되고 나서, 소리가 나면 다행이고, 안되면..?? 구글을 파봐야겠지.
다만, AppleALC 에 이런 내용이 있다.
“but remember to load AppleALC earlier than AppleHDA (see sudo kextstat
output for more detail).”
sudo kextstat 을 하고 결과를 보니, AppleALC 는 33위, AppleHDA 는 138위였다. 따라서 아무 이상은 없는데, 혹시나 순서가 잘못되었을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
(아직 그런 일이 없어서, 지금은 방법을 모르겠다.)
다음 글을 참고했다.
위 글에서는 kext 를 EFI/CLOVER/kext/Others
에 설치하라고 되어 있으나, 그렇게 하지 말라는 내용이 [GUIDE] Installing 3rd Party Kexts 에 잘 나와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