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삽질: KDE Neon 설치와 설정. (Kubuntu 18.04 기반)

쿠분투 17.04 꽃삽질기 이후, 배포판 설치기는 오랜만이다. 그림은 모두 배제. (갈무리하기 귀찮아서!) 장황함보다는 간략함을 택했다.

1. 설치디스크 만들기 및 설치.

부트로더로는 기본 제공되는 Grub 대신 refind 를 쓴다. KDE Neon 이 원래 그런 건 아니고, 그냥 내가 refind 를 택했다.
KDE Neon 은 Kubuntu 의 파생판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refind 를 설치를 제외한 기본 설치법은 우/쿠분투와 똑같다.

배포판 이미지를 받아, dd 명령 또는 Etcher 로 설치디스크를 만든다.
또는, 다음 글을 참고하여 ‘다중 설치디스크’를 만들 수도 있다.

설치디스크로 부팅 한 뒤, ‘Start KDE neon’ 으로 진입한다. 잠시 후 KDE Plasma Desktop 이 뜬다.
파티션 작업이 필요하면 이 상태에서 KDE 파티션 관리자를 사용한다.

Btrfs 를 사용한 본격 설치는 이전에 쓴 글을 참고한다.
refind 를 부트로더로 할 예정이므로, 그냥 설치를 시작하지 말고, ubiquity -b 로 시작한다. 루트 파티션, 홈 파티션등과 파일 시스템형식(Ext4, Btrfs 등)을 정해주고 순서에 따라 진행한다.
설치가 끝나면 재부팅 여부를 묻는데, 아직 부트 관리자인 refind 를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아니오’를 택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 글 참고)

설치 끝. refind 로 부팅하여 KDE Neon 으로 진입한다.

2. 기본 설정.

첫번째 부팅이 끝나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아무래도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다.

sudo add-apt-repository ppa:graphics-drivers/ppa
sudo apt install nvidia-driver-430

KDE Neon 은 Bionic 에 기반하므로, Bionic 용 저장소가 추가된다. 2020 2월 현재, 장기 지원판은 430 이라고 한다. 최신판은 440.

그 다음은 시스템 설정으로 이동. 하나씩 대강만 기록한다.

  • 글꼴/글꼴 : 전에는 서울 남산체를 쓰기도 했었으나.. 일단은 기본값으로.
  • 글꼴/글꼴 관리 : ‘추가’로 ttf 파일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fonts 에 파일을 넣어 두는게 더 간편하다.
  • 프로그램 모양/창 장식 : Arc 선택. (ppa:papirus/papirus, arc-kde 설치 후)
  • 프로그램 모양/GNOME 프로그램 스타일(GTK) : Arc 선택. (arc-theme 설치 후) 아이콘도 적절히. 기본 테마 그대로 놔두면 특정 GTK 프로그램 실행 시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음. 글꼴도 적절히 변경.
  • 작업 공간 행동/일반 행동 : (마우스) 두번 눌러 파일/폴더 열기
  • 작업 공간 행동/가상 데스크톱 : 원하는 만큼 설정
  • 작업 공간 행동/화면 잠금 : 15분/30초
  • 단축키/사용자 정의 바로 가기 : 계산기 등등 추가.
  • 시작 및 종료/자동 시작 : ssh 를 위해 설정.
  • 시작 및 종료/데스크톱 세션 : ‘빈 세션으로 시작하기’. ‘이전 세션 복원’의 경우, autokey 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찾기/파일 검색 : ‘파일 검색 사용’ 해제. 적어도 ‘파일 내용도 색인에 추가’는 해제하는 편이 좋다. 별 의미도 없고, 시간만 오래 걸린다.
    ‘파일 검색 사용’을 해제하면, baloo control 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이래야 오히려 돌핀에서 찾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듯 하다.
  • 찾기/KRunner : 불필요한 것들 선택 해제. (Konsole 프로필, 소프트웨어 센터 등등)
  • 지역 설정/Input Method: 영문 Dvorak, fcitx-hangul 이라면, Hangul 설정에서 Keyboard Layout 을 ‘영어(미국)’으로.
  • 응용 프로그램/기본 프로그램 :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usr/bin/tilix 로. (물론 tilix 는 따로 설치해줘야 함.)
  • 응용 프로그램/기본 프로그램 : 맨 아래 ‘기타:..’ 를 누르고 오른쪽 메뉴를 클릭한 뒤, 불필요한 프로그램 삭제(보미 등)
  • 네트워크/연결 : MTU 자동(Jumbo Frame 이 필요하다면 9000) 및 ‘자동 협상 허용’ 켜기.
  • 입력장치/키보드/하드웨어 : NumLock 켜기
  • 입력장치/키보드/고급 : Key Sequence to kill the X server
  • 입력장치/키보드/터치패드 : 드래그 잠금, 손바닥 감지 등.
  • 디스플레이와 모니터/디스플레이 : 멀티 모니터 사용 시 순서, 주화면 설정. (nvidia-setting 에서도 또 해줘야 한다.)
  • 멀티미디어/오디오 및 비디오/오디오 재생 : 재생 장치 우선 순위 설정
  • 전원관리/에너지 절약 : 화면 에너지(20분), 세션 일시 중지(30분)
  • KDE Connect : 페어링 후 자질구레 설정.

NVIDIA X server Settings

  • X server Display Configuration: 멀티 모니터 배열을 여기서도 동일하게 설정하고, 주 모니터(Make this the primary display for the X screen)도 선택한다.
  • Force Composition Pipeline, Force Full Composition Pipeline 모두 선택. (Screen Tearing 방지)
  • Save to X Configuration File 로 저장.
  • GPU 0 :
  • 모니터 설정에서 Color Controls 등 설정.
  • Save Current Configuration 으로 마침.

3. 프로그램 설치 (PPA 추가 없이)

PPA 추가 필요없이 설치 가능한 것들. 꾸러미명을 표기했다. 순서는 생각나는대로.

  • 나눔글꼴 (fonts-naver-d2coding fonts-nanum fonts-nanum-extra fonts-nanum-coding) : 나눔 계열 글꼴들.
  • latte-dock : 현재 진행형 Dock.
  • redshift : 잠을 잘 자고 싶어.
  • pavucontrol-qt : 재생 장치및 음량 조정용.
  • exfat-utils : exfat 파일 형식 지원을 위해.(2020.08 현재 커널은 5.4 대이고, 여기선 exfat 이 기본 지원된다. 즉, 이거 설치하지 않아도 그냥 마운트 된다.)
  • zsh : 현재 탐구 중. fcitx 와 im-config 문제가 있으니 주의하라.
  • python3-pip(더불어 ipython) : pip3 는 꾸러미로, ipython 은 pip 으로.
  • chromium-browser : 크롬과 더불어 이중 생활.
  • kate : KDE Neon 에는 kwrite 가 기본설치되는데.. 둘 간 가장 큰 차이는 MDI?
  • wine-stable : wine, 95% 는 mp3tag 을 위해. 나머지 5%는 Total Commander.
  • nfs-common, autofs : nfs 를 좀 더 편하게 쓰기 위해서는 autofs 까지 설치하는 편이 좋다.
  • software-properties-kde : Discover(현 둘러보기; 예전엔 ‘발견’)에 ‘Software Sources’ 항목 추가.
  • vim-gtk : KDE 에선 vim-gtk 를.
  • kdemultimedia kdemultimedia-kio-plugins : 음악 CD 등 돌핀에서 읽을 수 있게.
  • tor browser : (K)Ubuntu: Tor Browser 설치
  • synaptic apt-xapian-index : 자주는 아니지만, 그래도 필요는 하다. 설정도 꼭 필요.
  • xserver-xorg-input-synaptics : ThinkPad 용
  • All Media Codecs : kubuntu-restricted-extras

위의 프로그램들을 한방에.

sudo apt install fonts-naver-d2coding fonts-nanum fonts-nanum-extra fonts-nanum-coding latte-dock redshift pavucontrol-qt exfat-utils zsh python3-pip chromium-browser kate wine-stable nfs-common autofs software-properties-kde vim-gtk synaptic apt-xapian-index kdemultimedia kdemultimedia-kio-plugins kubuntu-restricted-extras

4. 프로그램 설치 (PPA 추가 필요)

5. 심화 설정

6. Grub 삭제?

ubiquity -b 로 설치했음에도, grub 관련 꾸러미 일부가 설치돼 있다.
그 꾸러미들은 다음과 같다.
grub-common grub-pc grub-pc-bin grub2-common os-prober grub-gfxpayload-lists
한방에 지워버려?

sudo apt remove --purge grub-common grub-pc grub-pc-bin grub2-common os-prober grub-gfxpayload-lists

refind 제작자는 가짜꾸러미인 grub3 를 설치하라고도 한다. 그런데 이걸 설치해도 몇몇 grub 관련 꾸러미는 때때로(커널이 올라갈 때 등) 또 설치가 된다. 그것까지 막으려면 그에 상응하는 가짜꾸러미를 만들어야 하는데..
굳이 그럴 필요까지는 없고, 그냥 놔두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EFI 에서 Grub 관련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명령을 아래 적어놓긴 했지만, cd 로 해당 디렉토리가 있는지 확인한 뒤 하는 편이 좋을 듯. 다만, 디렉토리 이동을 위해선 그냥 cd 로는 안된다. sudo -i 로 root 전환 후 하는 편이 좋다.

sudo rm -rf /boot/efi/EFI/ubuntu

2019.11.10 현재 이 정도면 된 듯.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