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파일은 그대로 남겨두고 파일 크기를 줄이고 싶을 때가 있다. 주로 log 관련 파일이 이런 파일들이다.
위 글에선 truncate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 크기를 원하는만큼으로 줄여(늘여)주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파일크기를 조작할 때는 뒤에서부터 작업이 이뤄진다. 예를 들어 2KB 인 파일을 3KB 로 늘리면, 뒤에 00(이진코드) 이 붙어 늘어나고, 반대로 2KB 를 1KB 로 줄이면 역시 뒤에서부터 1KB 만큼 잘린다.
모두 텍스트 파일로 처리가 되는 게 아니고 이진으로 작업되기 때문에, 파일이 텍스트 파일이든 아니든 관계가 없다.
어떤 파일의 크기를 0 으로 만들고 싶다면, 파일을 지우고 같은 이름의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truncate 는 그 번거로움을 한번에 줄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과연 이 명령을 내가 기억할 수 있으려나? 게다가, truncate 라는 단어가 익숙하지도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