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AP 사용 정리.

iptime Extender 를 샀다. AP 로만 쓰기 위해 다음 내용을 정리했다.
설정에서 “무선AP” 만 선택하면 되는데, 유선공유기 설정과 문제를 해결하려면 살짝 골치를 앓아야 한다.

유선 공유기는 DHCP 기능을 쓰고 있고, IP를 고정하기 위해서 맥주소와 IP 를 등록해놓고 있다.
그리고, “등록 주소만 인터넷 허용”까지 쓰고 있는데, 이 설정 때문에 AP 와 문제가 생긴다.

유선공유기 AP 연결:
공식 용어인지는 모르겠으나, 무선 신호를 받아서 그 신호를 확장해주는 기능을 iptime 에서는 무선 Client 라고 부르는 듯 하다.
반면, 무선 AP 기능은 유선공유기와 AP 간 연결을 ‘유선’으로 하고, 그 유선 신호를 무선으로 바꿔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유선공유기와 iptime Extender 를 랜케이블로 연결한다.

AP 설정:
먼저, AP 에는 유선공유기와 같은 대역의 IP 와 서브넷을 할당한다.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유선공유기의 IP주소 대여범위를 살짝 줄여놓고, AP 는 그 범위 바깥으로 할당하는 편이 좋다.
예를 들면, IP 주소 대여 범위를 192.168.0.2 ~ 192.168.0.100 로 해놓고, AP 는 192.168.0.101 로 주는 식이다. (192.168.0.1 은 공유기 주소)
GW/DNS 도 적절히 설정한다.

나머지 AP 설정은 ssid 와 암호화만 정해주고, 나머지 복잡한 설정은 취향에 맡기면(?) 되겠다.

유선공유기 설정:
이 부분도, 그냥 제한을 두지 않고 사용한다면 사실 손을 볼 필요는 없다.
그러나.. DHCP 서버에서 “등록 주소만 인터넷 허용”을 켠 경우, 살짝 손볼 부분이 있다.
또, AP 를 사용하려면, 유선공유기에서는 “자동할당 주소만 인터넷 허용”을 꺼야 한다. iptime AP 에는 자동으로 IP 를 받아오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주소를 수동으로 줄 수 밖에 없고, 이 설정이 켜져있으면 AP 에서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도 사실 좀 애매한 부분이 있다.
“등록 주소만 인터넷 허용”이 설정되어 있고, AP 의 맥주소를 유선공유기에 등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AP 를 통한 인터넷 접속은 가능하다.
한 기기에서 AP 의 ssid 로 접속하면, 인터넷 사용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게 안돼야 할 듯 한데, 된다.
마찬가지로, “자동할당 주소만 인터넷 허용”이 켜져있어도, AP 로 접속한 기기의 인터넷 사용도 가능하다. 이것도 안되는게 맞지 않나?

어찌됐든, AP의 맥주소가 유선공유기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AP 에서 펌웨어 온라인 자동 업그레이드 기능과 시스템 시간 설정(서버 이용)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 두 기능이 별로 필요없다면, 굳이 등록하지 않아도 될 듯도 하다. 펌웨어는 따로 받으면 되고, 시간은 포기(?)하면 된다.


각설하고, “AP 의 IP와 맥주소를 유선 공유기에 등록한다”는 점을 기억하면 되겠다.

IP 는 위에서 내가 정해줬으니 그걸 쓰면 된다.
그런데, 맥주소는??
이게 좀 헷갈렸다. AP 에는 유선포트가 있으므로, 당연히 유선포트에 대한 맥주소가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AP 의 맥주소는 무선주소 밖에 없다.
게다가, 만약 AP 에서 2.4GHz/5GHz 를 모두 지원한다면, 두 주소를 모두 등록해야 하는 건가??
그러나, 한 IP 에 두 맥주소를 등록할 수는 없다.

어떻게 해야 되려나??
이럴 땐, arp 명령이 도움이 된다.
arp -v를 해보면, AP 의 IP 주소가 보이고, 맥주소도 보인다. 2.4/5 중에 하나가 보이는데, 이 주소로 유선공유기에 등록을 해준다.

그러면, AP 로 접속해서 펌웨어 업그레이드/시간 설정이 가능해진다.

다만, iptime 제품에선, 위와 같이 설정했을 경우, 시간은 제대로 표시가 되는데, “시스템 시간 설정”에서 ‘적용’ 단추를 누르면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 있다는 문구가 표시된다. 그러나 시간은 맞는 걸로 봐서, 뭔가 내부에 오류가 있는 듯 하다.


이게 좀 헷갈리는데..
만약 AP 의 ip 주소가 192.168.0.50 이라고 했을 때, ping 을 날린다면?

$ ping 192.168.0.50

이때 ping 은, 연결된 유선케이블이 아니고 무선으로 받게 되나??? (뭔가 이상한데??)
유선케이블은 LAN 신호만 왔다갔다 할 뿐, 실제 패킷은 무선으로 받게된다는 의미가 되나..?
이상한데?? 신호를 보내는 건 유선라우터인데, 유선 라우터에서 ping 신호를 보내면, 무선AP로 그 신호가 ‘유선’을 타고 가서, 자기 자신한테로 무선 신호를 날리는??

쓸데없는게 사람 정신 어지럽게 만드는군.

아무튼, 이렇게 설정하면 사는데 큰 지장은 없다.

Author: 아무도안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