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e : Total Commander 10.x 설치

T.C 는 64bit 판을 설치한다.
8.x 까지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이후 판(9.x)부터는, 설치 후 바로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며 화면에 아무 것도 표시되질 않는다. (뭔가 빙글빙글 도는 듯 하기라도 하면 그나마 양반인데, 아무 것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다음 파일들을 찾아 적절한 편집기(VS Code 에서 잘 된다. kate/kwrite 는 안된다.)로 열고, 인코딩을 UTF-16BE with BOM 으로 바꿔준다. (아래에 좀 더 자세한 내용)

T.C 가 설치된 폴더(~/.wine/drive_c/Program Files/totalcmd 등)에 있는 *.BAR 파일.

  • DEFAULT.BAR
  • NO.BAR
  • VERTICAL.BAR

그리고 주 설정파일도 역시. WINE 판본에 따라 위치가 다르다.

  • ~/.wine/drive_c/users/USERX/Application Data/GHISLER/wincmd.ini
  • ~/.wine/drive_c/users/USERX/AppData/Roaming/GHISLER/wincmd.ini

이렇게하고 실행하면 T.C 가 뜨긴 하는데.. 살짝 문제가 있다.

한국어로 설정하면 이렇게..

기본값은 영어이므로 잘 표시가 되지만, 한국어로 바꿔주면 위와 같이 글꼴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2022년 2월 현재, Wine 7.x 가 설치된 상황에서 저런 상황이 나온다.
이를 고쳐주려면, 일단은 영어 상태에서, Configuration – Options – Display – Font 로 이동한 후, 모든 글꼴을 한국어 글꼴로 바꿔준다. 나눔고딕 정도면 충분하다.


** UTF16 문제

우분투와 쿠분투에서 인코딩을 바꾸는 방법이 좀 다르다. 다르기 보다는 편집기에서 기본 제공하는 기능이 다르다.

  • 우분투 : 텍스트 편집기(Gedit) 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한 후 문자 인코딩을 UTF-16 으로 바꿔준다.
  • 쿠분투 : Kate/Kwrite 에서 제공하는 UTF16 은 UTF16LE w/o BOM 이다. 따라서 다른 편집기나, 적당한 것이 없다면 Geany, VS Code 를 사용할 것.

Geany 가 이런 기능은 강력(!)하다.

Visual Studio code 에서는, UTF16BE 로 해주면 된다. BOM 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있지만, BOM 이 기본 설정 되어 있나보다.


어찌됐든, 위와 같이 파일들을 바꿔준 뒤 T.C 를 실행하면 아무 이상없이 잘 돌아간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uthor: 아무도안

1 thought on “Wine : Total Commander 10.x 설치

안녕하세요. 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